교과목소개
교과목소개
 대학원 교과목소개
9570001 논문연구 I (Research for the Master’s Degree I)
9570002 논문연구 II (Research for the Master’s Degree II)
9570003 운동통계학 (Statistics in Physical Education and exercise)
오늘날 운동경기 상황에서 운동 수행자들에 의해서 도출되는 결과와 그러한 결과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사회적, 심리적, 생리적 변인들의 정확한 해석은 매우 복잡하고 많은 작업을 요구하는 과제이다. 따라서 본 교과는 운동과학의 중요 하위영역으로써 운동상황에서 발생되는 여러 가지 관련 변인들의 연관성을 정확하고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해석하기 위한 방법론적인 측면에 초점을 두고 있다.
9570004 스포츠운동심리학 (Advanced sport & Exercise psychology)
스포츠운동심리학은 스포츠와 신체활동이 여러 측면에 관련하고 있는 심리적 요인들을 관찰하여 수행자들의 경기력과 심리적 동기 및 자신감 등을 향상시키고자 꾸준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이러한 스포츠 운동심리학의 목적에 부합하여 본 교과는 운동선수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의 신체활동에 영향을 미치고 다양한 심리적 변인들의 특성과 그 관계범위를 보다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을 통해 제시, 분석, 해석 해 봄으로써 지속적인 스포츠 참여를 유도함과 아울러 경기력에 영향을 주는 심리적 변인들의 실체를 정확히 이해하는데 그 초점을 두고 있다. 
9570008 생체역학연구Ⅰ(Studies in Biomechanics)
정지, 혹은 운동상태에 있는 물체에 작용하는 힘에 대하여 연구하는 과목으로, 특히 인간의 내부, 또는 외부와 상호 작용하는 힘에 대한 연구를 주요 관심사로 하고 있다. 인체의 움직임 중 힘과 관련된 운동학적(kinematic)적인 면과, 운동에 의하여 발현된 여러 변인들의 운동역학(kinetic)적인 면으로 구분하여, 정량적으로 분석 일선현장에서 보다 더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지도하여 경기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이론적인 지식을 제공한다.
9570009 생체역학연구Ⅱ (Advance Studies in Biomechanics)
생체역학 분야에서 주로 다루는 내용 중 각종 운동기술의 분석과 개발, 운동기구의 평가와 개발, 그리고 이체 움직임의 측정방법과 자료처리기술의 개발을 위한 제반 이론 및 습득하기 위하여, 동작분석법(Motion analysis), 힘의 분석법(Force analysis), 근전도법(Electric myography: EMG)를 익힌다.
9570010 운동동작분석 (Motion Analysis)
각 운동종목별 생체역학에 관련된 논문을 작성하여 이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 및 비평을 실시하여 그 운동종목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Modeling 작업을 수행하며, 실재로 비디오 카메라와 지면반력기를 이용하여 운동 중에 일어나는 여러 생체 역학적 요인들을 측정 분석 함으로써 각종 측정기구의 사용법에 대한 숙지 및 Data 분석법을 습득한다. 
9570014 스포츠마케팅 (Sport Marketing)
소비자 만족 중심의 스포츠 서비스에 대한 마케팅원리 및 연구방법을 익힌다. 소비자 행동론, 스포츠의 마케팅, 스포츠를 통한 마케팅, 마케팅 연구법 등에 대한 연구를 다룬다.
9570015 스포츠경영 (Sport Management)
여가 및 레크리에이션의 학문적 연구방법에 기초한 실용적 접근을 시도한다. 여가철학, 여가사회학, 여가심리학, 여가 행정·경영학 등의 다양한 학문적 접근을 유도한다. 특히, 여가동기 및 제약 등을 비롯한 현대의 여가문제를 광범위하면서도 구체적으로 다룬다.
9570016 여가및레크리에이션연구 (Research in Leisure & Recreation )
여가와 레크리에이션의 기본 개념과 American Culture에서의 그들의 역할에 대한 소개이며, 산업의 역사적, 철학적, 사회적 측면을 제시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9570017 운동행동연구 (Indepth research in health behavior)
본 교과는 두 가지 측면에서 교수되어진다. 첫째는 운동경기상황에서 운동선수의 수행결과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관계변인 중 특히, 심리적 변인에 초점을 두고 있다. 둘째는, 일반인들의 운동상황에서 그들의 운동수행 시작 및 중도포기 그리고 지속에 영향을 주는 사회심리학적변인들을 도출해내고 그러한 변인들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처치하여 궁극적으로 사회 및 개인의 삶의 질 향상과 건강증진에 기여하고자 한다.
9570018 건강심리학연구 (Studies in Health Psychology)
건강심리학이라는 학문적 영역은 아직 우리들에게는 생소하고 의학적 분야에서 다루어져야 하는 영역으로 인식되고 잇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개인의 건강상의 불균형은 상당한 부분 그들의 심리적인 문제에 의해서 야기되어진다는 것에 동의하고 있을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교과는 우리의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건강행동들-예를 들면, 흡연, 지나친 음주, 잘못된 식 습관, 약물 오 남용 등이 발현되는 다양한 기전들 중에서 심리적인 측면이 차지하는 비중에 초점을 두어 진행된다.
9570019 운동상해  (Sports Injury )
스포츠나 운동참여에 따른 부상발생에 대한 기전, 붓아평가, 처치에 관하여 논의하게 된다. 또한 생명을 위협하거나 심각한 장애를 가져올 수 있는 부상, 과사용에 대한 만성상해, 그리고 기타 급성상해에 대한 심층이해를 기반으로 스포츠관련 상해예방에 대한 방법을 연구하는 데 중점을 두어 진행된다.
9570020 신경혈관 해부학 (Arteries and nerves anatomy )
일반 해부학을 기초로 한 단계 심화된 과정으로 운동선수에게 빈번히 발생되는 신경손상 또는 혈관손상에 따라 나타나는 signs&symptom에 초점을 두어 진행된다. 특히 상지와 하지, 심장과 뇌의 신경과 혈관의 기능을 이해하고 직접 촉진하는 과정을 가지게 된다.
9570021 스포츠재활 (Sport Rehabilitation)
급성과 만성상해 이후, 선수의 재부상 위험을 낮추는 동시에, 선수의 기능회복과 경기력 향상을 돕기 위한 복귀훈련 과정을 이해하는 데 있다. 이 과정에서 안전하고 효과적인 재활방법을 연구하는데 초점을 두고 진행된다.
9570022 운동생리학 (Exercise Physiology)
운동과 관련한 인체의 생리학적 요인들을 살펴보고, 단발성 운동시 그리고 장기간의 트레이닝시 인체의 생리학적 변화에 대해 이해함으로써, 운동을 통한 신체의 건강 유지 및 기능 향상을 위한 기초학문이라는 것을 이해하는데 그 목표가 있다.
9570023 인체생리학 (Human Physiology)
인체에서 일어나는 생리적인 현상을 이해할 수 있도록 각 기관 및 시스템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 이해하고, 인간의 생명을 유지하는 기본인 인체 환경의 항상성과 소화계, 혈액계, 순환계, 내분비계 및 에너지 대사 등에 관하여 종합적으로 학습한다.
9570024 운동영양학 (Exercise Nutrition )
건강 체력과 운동 체력 향상을 위한 전반적인 영양학 즉, 운동 중 에너지 대사와 체중 조절 등에 관련된 운동 영양학적 지식을 폭넓게 배우고 익힌다. 
9570025 스포츠사회학연구 (Sociology of Sport )
본 교과에서는 스포츠를 사회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할 수 있도록 문화, 미디어, 정치, 경제, 산업, 사회제도가 스포츠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9570026 여가사회학연구 (leisure sociology)
본 교과에서는 현대사회의 특징과 현대인의 여가의식과 태도에 따른 제 관점을 연구한다. 또한 다양한 사회, 심리학적 관련 이론들을 학습하여 인간의 여가행동을 다각적으로 연구한다.
  9570027 치료레크리에이션연구 (Therapeutic Recreation )
  본 교과에서는 치료레크리에이션의 주요 개념과 영역, 서비스 모델의 학습을 통해, 다양한 클라이언트 집단에 대한 실질적 프로그램의 적용을 연구한다.

Quick Menu

  • 교수소개
  • 학부 공지사항
  • 대학원 공지사항
  • 학생포탈
  • 학사일정
  • 도서관
  • e-Class(강의자료)
  • 장학재단
[01811] 서울 노원구 공릉로 23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스포츠과학과 TEL : 02-970-6367, 6368 FAX : 02-972-9763
Copyright (c)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ll Rights Reserved.